라이프
관련링크
본문
③연합군 총사령관인아가멤논이 다짜고짜 크리세이스를 빼앗아 간다.
④그날, 아폴론의 사제인 크리세스가아가멤논을 찾는다.
⑤크리세스는 딸 크리세이스를 돌려달라고 말하지만,아가멤논은 문전박대한다.
⑥크리세스는 아폴론을 통해 연합군 진지를 쑥대밭으로 만들어버린다.
아가멤논, 아킬레우스 포로를 빼앗다 딸 돌려달라고 호소한 아버지 내쫓고 끝내…신과 영웅 모두가 분노한 사태 장 밥티스트 앙리 데자이, 아킬레우스의 천막에서 끌려나온 브리세이스(일부 확대), 1761년경, 캔버스에 유채, 83x78.
5cm, Musée des Augustins 윌리엄 페이지,아가멤논과 아킬레우스의 말다툼(일부 확대).
작품이 시선을 끄는 것은 현재의 극중인물들과아가멤논극중인물들과 동일화시켜 강훈구 특유의 놀이성으로 전환되는 메타연극 형식 통해 '극작과 연극의 이해' 기초 편을 보는 것 같다.
딸을 잃은아가멤논을 향한 클뤼타임네스트라의 복수와 저주, 불륜의 서사를 현재화하는 강훈구적 놀이성이 탁월한.
출정 전 바람은 좀처럼 불지 않고 ‘거만’아가멤논에게 원인 있었다 “딸 바쳐야 문제 풀린다” 예언까지 끝끝내…그 일을 저지르고 마는데 프랑수아.
총사령관은 당시 가장 국력이 센 국가 중 하나였던 미케네의 왕,아가멤논이 맡는다.
인간 세계에서 가장 강한 아킬레우스, 가장 꾀가 많은 오디세우스.
아내를 뺏겨 격분한 메넬라오스는 자기 형인 미케네의 왕아가멤논에게 하소연했다.
형은 그리스 연방의 대표 폴리스인 막강한 스파르타가 트로이.
아킬레우스가 나서서아가멤논에게 말했다.
"아가멤논이여, 당신은 아폴론을 모시던 신관의 딸을 강탈해 전장에서 첩처럼 다루고 있소.
◇서사적 모티프로서의아가멤논최근 연극제작집단 '공놀이클럽'이 아이스퀼로스의 '아가멤논'을 현대적으로 재창조한 '클뤼타임네스트라'(강훈구 작, 연출, 2025.
12, 연희소극장)를 무대에 올렸다.
공놀이클럽을 이끌고 있는 강훈구는 작년에 '이상한 어린이 연극―오감도'로 동아연극상 새개념연극상을.
고대 그리스 극작가인 아이스킬로스의 비극 <아가멤논>을 모티브로 한 연극 <클뤼타임네스트라>(강훈구 작·연출, 김현 조명, 함승완 음향, 극단 공놀이클럽)는 더 직접적이다.
신탁으로 딸을 죽이고 트로이 전쟁에 출전한아가멤논이 10년 만에 귀환해 아내 클뤼타임네스트라에게 살해당하는 서사를 동시대.
그리스 비극 ‘아가멤논’을 모티프로 한 이 작품에 12·3 불법 비상계엄 등 최근 사건이 생생히 담길 수 있었던 이유가 여기에 있다.
강 연출가는 “연극은 관객 눈앞에서 벌어지는 예술이기에 영화, 드라마보다 시차를 좁히는 게 중요하다”며 “무대 위 세계를 목격한 관객이 현실의 정치사회를 한발 떨어져서.
그리스군 총사령관아가멤논에게 진중의 예언자 칼카스가 처녀의 피를 제물로 바쳐야 폭풍이 멈출 것이라고 말한다.
고뇌를 거듭하던아가멤논은 제 딸 이피게네이아를 죽여 제단에 올린다.
함대가 항구를 떠나려면 다른 수가 없다.
이피게네이아의 죽음은 딸의 어머니이자아가멤논의 아내인.
최초의 비극 작가인 아이스킬로스의 ‘오레스테이아’는 트로이 전쟁을 일으켰던아가멤논집안의 복수극을 다룬 작품이다.
아가멤논집안은 대대로 권력을 차지하기 위해 가족끼리 살인과 복수를 일삼았던 아트레우스 가문이다.
‘오레스테이아’는 이 가문의 마지막 복수극에 초점을 맞추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