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
관련링크
본문
10주년을 맞는 가운데, 서울시는 올해 142억원을 투입해 허양처럼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시민들을 적극 발굴해 지원에 나선다.
생계급여를 늘리고, 지원 대상인 소득 기준은 완화했다.
12일 시에 따르면 2015년 5월 시작된 서울형 긴급 복지 지원은 주(主)소득자.
안전망 확충을 위한 신선 농산물 구매 사업인 농식품바우처 지원 사업을 본격 시행한다.
지급 대상은 기준 중위소득 32% 이하생계급여수급 가구 중 임산부와 영유아, 18세 이하 아동이 포함된 가구에 농협 및 로컬푸드 직매장 등 지정 매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김해시가 올해부터 일부생계급여가구에 농식품 바우처 카드를 지원한다.
취약계층의 식품 접근성 강화와 지속가능한 농식품 소비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다.
올해 농식품 바우처 사업 지원 대상은생계급여(기준 중위소득 32% 이하) 수급가구 중 임산부 영유아 만.
서울형 긴급복지 제도 지원 취지.
서울시 제공 올해 서울형 긴급복지지원생계급여가 지난해보다 2% 오른다.
서울시는 1인 가구 기준 서울형 긴급복지지원생계급여가 지난해 71만3000원에서 올해 73만500원으로 2.
44% 오른다며 12일 이같이 밝혔다.
지원 대상은 임산부와 영유아, 18세 이하 아동이 있는생계급여수급 가구이며, 국내산 채소와 과일, 우유 등 매달 10만 원의 농산물 구입비용을 지원합니다.
신청은 주소지 읍면동 행정.
통해 복지 사각지대 해소에 나선다고 3일 밝혔다.
군은 2025년 기준 4인 가구 기준중위소득이 전년 대비 6.
42% 인상됨에 따라생계급여지원액을 기존 183만 3572원에서 195만 1287원으로 증액한다.
이를 통해 대상자들은 월 최대 11만 7000원의생계급여를 추가로.
전남 담양군은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기준 완화와생계급여지원 확대를 통해 취약계층의 복지 혜택을 대폭 강화한다고 5일 밝혔다.
군에 따르면 올해 기준중위소득 인상에 따라생계급여지원 기준액이 상향 조정돼 4인 가구생계급여지원.
서울시가 '서울형 기초보장제도'생계급여를 인상한다.
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부양의무자 고소득·고재산 기준은 상향하고 어르신 근로·사업소득 추가 공제 연령은 낮추기로 했다.
21일 서울시는 정부의 기준 중위소득 인상에 따라 올해 '서울형 기초보장제도.
(사진=영등포구)생계급여는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일환으로, 최저.
올해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기준 중위소득은 전년 대비 1인 가구 기준 7.
34%, 4인 가구 기준 6.
이에 따라생계급여지급액도 증가해 1인 가구 76만 5444원, 4인 가구 195만 1287만원으로 최대 11만 7000원이 인상됐다.